월급 루틴 만들기: 월급 들어오면 꼭 해야 할 5가지
“월급날만 기다렸는데 왜 또 통장이 텅 비었지?” 매달 반복되는 월급날의 허무함, 당신도 느껴본 적 있나요?
많은 직장인들이 월급을 받자마자 돈이 어디로 사라지는지 모른다고 말합니다. 그 이유는 ‘월급 루틴’이 없기 때문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월급이 들어오자마자 꼭 해야 하는 5가지 핵심 루틴을 알려드립니다. 한 번 습관화하면, 지출은 통제되고 저축은 자동으로 쌓이는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.
1. 자동이체 확인 및 점검
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자동이체 내역 점검입니다. 매달 빠져나가는 고정지출(렌탈비, 보험료, 정기결제)이 정확히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.
- 📌 월급일 다음 날 기준으로 자동이체 설정
- 📌 불필요한 정기 구독 서비스는 해지
자동이체의 흐름이 정리되어야, 월급이 통제됩니다.
2. 저축 및 비상금 자동 분리
저축은 남는 돈으로 하는 게 아닙니다. 먼저 떼어놔야 합니다.
월급이 들어오면 즉시:
- ✅ 비상금 통장으로 5~10만 원 이체
- ✅ 저축 통장으로 10~30% 자동이체
특히 타행 통장(다른 은행)을 이용하면 접근성이 떨어져 소비 유혹을 줄일 수 있습니다.
3. 투자금 이체 및 자동 매수 설정
투자는 잊어버릴 정도로 자동화되어야 지속됩니다.
- 📈 ETF 자동매수 or 펀드 자동납입 설정
- 💸 투자금 계좌로 월급의 10~20% 이체
추천 플랫폼: 미래에셋, 키움증권, 삼성증권, 토스증권 등 스마트폰 앱에서도 매월 지정일 자동매수 설정이 가능합니다.
4. 소비 예산표 작성 (1주 or 1개월)
이번 달 소비 예산을 미리 정해두면 통제가 쉬워집니다.
월 전체 → 주간 단위
로 나누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.
👉 가계부 앱 or 엑셀을 활용하면 효율적입니다.
5. 목표 점검 & 금융앱 정리
마지막으로 이번 달의 재무 목표를 1줄로 적어보세요.
예: - “비상금 10만 원만큼 채우기” - “무지출 데이 주 2회 실천” - “쇼핑비 15만 원 이하로 유지”그리고 스마트폰에 깔린 소비 유발 앱(쇼핑몰, 배달앱 등)의 푸시 알림 OFF 또는 앱 삭제도 추천합니다.
마무리: 월급 루틴이 있는 사람은 돈을 지킵니다
재테크는 지식보다 루틴이 중요합니다. 매달 반복되는 월급 루틴을 만들면, 돈이 새는 구조에서 모이는 구조로 바뀝니다.
처음에는 번거롭지만, 3개월만 지속하면 자동화됩니다.
다음 월급날부터는 이렇게 시작해보세요:
“지출은 자동으로 통제되고, 저축은 나도 모르게 쌓이는 구조”
이 루틴이 당신의 금융 자립을 만들어줄 것입니다.
※ 본 글은 2025년 기준 개인 재무관리 습관 가이드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0 댓글